리눅스 (7) 썸네일형 리스트형 개념 1. 루트에 새 계정과 새 계정인 scott의 비밀번호를 한 뒤, scott 계정으로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들려고 할 때 허가거부로, is not in the sudoers file 이라고 오류가 뜰 경우 대처 방안은 ?? vi 파일로 /etc/sudoers로 들어간 뒤, 여기다가 새롭게 만든 계정 아이디를 추가해주면 된다. ※ sudoers 파일 sudo 명령어에 대한 설정을 다루는 파일로 이곳에 sudo명 령어를 사용 할 수 있는 계정을 지정할 수 있다. 2. su 와 su - 의 차이점 su(switch user) : 현재 계정을 로그아웃하지 않고 다른 계정으로 전환하는 명령어이다. su : su를 쓴 뒤 아무것도 쓰지 않고 엔터를 누르면 root 사용자로 변경하게 된다.su username : su.. 5장 5장 명령어와 친해지기 ▶ type : 명령어의 이름이 어떻게 표시되는지 확인 ▶ which : 실행 프로그램의 위치 표시 ▶ man : 명령어의 man 페이지 표시 ▶ apropos : 적합한 명령어 리스트 표시 ▶ info : 명령어 정보 표시 ▶ whatis : 명령어에 대한 짧은 설명 표시 ▶ alias : 명령어에 별칭 붙이기 명령어란 /usr/bin 디렉토리에서 본 파일처럼 실행 프로그램을 말한다. 셀에 내정되어 있는 명령어다. 셀 함수다. 별칭이다. 리눅스명령어 5장. 명령어와 친해지기 ▶ tpye : 명령어의 이름이 어떻게 표시되는지 확인 ▶ which : 실행 프로그램의 위치 표시 ▶ man : 명령어의 man 페이지 표시 ▶ apropos : 적합한 명령어 리스트 표시 ▶ info : 명령어 정보 표시 ▶ whatis : 명렁어에 대한 짧은 설명 표시 ▶ alias : 명령어에 별칭 붙이기 1~4 장 1장 쉘이란 키보드로 입력한 명령어를 운영체제에 전달하여 이 명령어를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. 터미널 에뮬레이터 (= konsole) GUI 환경에서는 쉘과 직접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줄 때 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. 이 프로그램은 데스크톱 메뉴를 잘 살펴보면 쉽게 찾을 수 있다. 쉘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. # : root 사용자 = 슈퍼유저권한을 가짐. $ : 일반 사용자 명령어 히스토리 방금 입력한 명령어를 다시 보려면 위쪽 방향키를 사용하게 되면 프롬프트에서 해당 명령어가 다시 나타나게 하는 것. date : 현재 시간과 날짜 표시 cal : 현재 날짜의 달력 표시 2장. 파일시스템 탐색 ▶ pwd (Print Working Directory):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화면에 출력할 때.. 리눅스 명령어 모음집 리눅스 필수 명령어 pwd (point working directory) :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 정보 출력 cd (change directory) : 경로 이동 (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로 이동이 가능) ls (list) : 디렉토리 목록 확인 cp (copy) : 파일 혹은 디렉토리를 복사 (디렉토리 복사할땐 '-r' 옵션을 줘야 함) mv (move) : 파일 혹인 디렉토리 이동 실제 원하는 위치 이동 or 이름을 변경하는 용도로도 사용 (cp와는 달리 디렉토리를 이동할때도 별다른 옵션이 필요X) mkdir (make directory) : 디렉토리 생성 ('-p'옵션을 주면 하위 디렉토리까지 한번에 생성 가능) rm (remove) : 파일이나 디렉토리 삭제 (삭제할땐 '-r' 옵션을 줘야 함.).. 오라클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방법 8GB - 100GB *IPv4 설정 192.168.10.--- / 255.255.255.0 / 192.168.10.1 / 8.8.8.8 게이트웨이 DNS 서버 yuni : 158 pw : yuniYuni /boot : 1024MB (=1GB) swap (임시 디스크 공간) : 8192MB(=8GB) / : 실제 디스크 공간 oracle-base.com/articles/linux/oracle-linux-6-installation Oracle Linux 6 Installation This article provides a pictorial guide for performing a default installation of Oracle Linux 6. oracle-base.com m.blog.naver.co.. 가상머신(VMware)/ 리눅스개념 가상머신 : Windows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여러대의 리눅스 서버를 운영하는 효과를 내는 것. ↕ 파티션을 나누지 않고, 동시에 여러 개의 운영 체제를 가동한다. (멀티부팅 :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을 분할한 후, 한번에 하나의 운영체제만 가동할 수 있는 환경) 컴퓨터에 설치된 운영체제(호스트 OS : 기존PC에 설치되어 있는 Windows) 안에 가상의 컴퓨터를 만들고, 그 가상의 컴퓨터 안에 또 다른 운영체제(게스트 OS : 그 외 가상머신에 설치한 운영체제)를 설치/운영할 수 있도록 제작된 소프트웨어 이 그림처럼 우리는 가상머신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추가로 4대의 가상머신(=게스트컴퓨터)을 만들고, 리눅스 3대와 Windows 1대를 설치한다. 추가된 4대의 가상머신에는 가상 IP 주소를 할당하고, 가.. 이전 1 다음